야외고고학
야외고고학
>
자료실
>
HOME
찾기
윤리예규
발간예규
ISSN 1975-8731 (Print)
ISSN 2713-6655 (Online)
원문을 보시려면 Acrobat Reader를 설치하셔야 합니다.
  • 야외고고학(The Journal of Korean Field Archaeology) -36 [2019.11]
    ▶ 建窯의 “供御”·“進琖”銘黑釉碗에 대한 기초적 검토 / 이희관 /
    ▶ 중세 이슬람도기의 특성에 대한 기초 연구 - 아제르바이잔 살비르(Salbir)유적 출토 이슬람도기의 物的 특성을 중심으로 - / 권혁주 /
    ▶ 烏山 紙串洞 遺物散布地3 收拾 唐式 帶裝飾具 檢討와 京畿地域에서의 意味 考察 / 최정범 /
    ▶ 우리나라 매장문화재 발굴조사 전문법인 등록제도의 변천과 개선 / 최민정 /
    ▶ 제작 기술로 본 익산 왕궁리 사리장엄구 제작 시기 연구 / 박정현 /
  • 야외고고학(The Journal of Korean Field Archaeology) -35 [2019.7]
    ▶ 김포지역 벼농사 개시에 관한 식물고고학적 검토 / 김민구ㆍ김영준ㆍ김우락 /
    ▶ 연령별 문화재 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- ‘돌돌탐험대’와 ‘고고학 체험교실’ 사례를 중심으로 - / 김은경 /
    ▶ 한반도 고대토기 생산기술의 복원 연구 - 태국 북부지역 민족지사례 비교연구를 통해 - / 김은정ㆍ정다운ㆍ조사라 /
    ▶ 영산강유역 대형옹관의 제작기술적 특징과 의미 / 이지영ㆍ최미숙ㆍ이혜원ㆍ정유진ㆍ김소라 /
    ▶ 고고유적에서 출토된 사람 뼈의 키 추정방법과 결과해석 / 정양승ㆍ우은진 /
  • 야외고고학(The Journal of Korean Field Archaeology) -34 [2019.3]
    ▶ 동북아시아 철겸의 변천과 완주 갈동유적 주조철겸의 등장배경 / 김상민 /
    ▶ 기와 결손·보수로 본 지붕구조의 가설적 복원 / 노윤성 /
    ▶ 三國時代 匙箸의 普及과 食事方式 / 오승환 /
    ▶ 웅치전적지 위치와 지정범위 재검토 / 천선행ㆍ박춘규ㆍ심진수ㆍ차상민ㆍ이슬비 /
    ▶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석재의 산지 연구 / 황창한 /
    ▶ 영주 순흥 내죽리고분군 6-87호분의 석실 구조와 성격 / 김준식ㆍ이진혁 /
  • 야외고고학(The Journal of Korean Field Archaeology) -33 [2018.11]
    ▶ 영산강유역 원형분의 출현 배경과 의미 / 한옥민 /
    ▶ 청동기시대 수혈주거지의 Life cycle에 대한 고고학적 이해 / 배군열 /
    ▶ 시뮬레이션(Simulation) 기법을 이용한 주거지 내부 출토 토기의 파손 양상 연구 / 허의행 /
    ▶ 옥류(玉類) 원석 탐사 / 박홍국 /
  • 야외고고학(The Journal of Korean Field Archaeology) -32 [2018.7]
    ▶ 汝窯와 이른바 汝官窯 - 여요의 성격과 관련된 논의의 역정 / 이희관 /
    ▶ 5~6세기 경주지역 고분의 위계와 변천양상 / 이동욱 /
    ▶ 성곽(城郭)에서 출토되는 석환(石丸)의 기원과 기능 및 활용 / 박세원 /
    ▶ 매장문화재조사비용의 원인자책임원칙에 관한 연구 / 배진성ㆍ이기춘 /
    ▶ [자료소개] 아바칸 8 타쉬트익 문화의 고분 유적 / 번역 : 손동혁ㆍ심재연 /
1
2
3
4
5
>
>>
 
(35203)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117번길 44 (만년동 381) 엑스포오피스텔 207호 / TEL. 042-524-9260~2 / FAX. 042-367-3263 / E-mail. hmh-9260@hanmail.net
COPYRIGHT(C) 2019 사단법인 한국문화유산협회. ALL RIGHTS RESERVED.
게시판운영원칙 | 개인정보처리방침 | 이메일무단수집거부
찾아오시는 길